본문 바로가기
edu news

2025 고교학점제 완전 해부 ④

by 모모 :-D 2025. 5. 17.

 

고교학점제 과목 선택 가이드 ④

과목 선택이 대입에 미치는 실제 영향은? 전형별 연계 전략 총정리

2025학년도 고1부터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
그렇다면 학생이 선택한 과목이 실제로 대입 전형에서 어떻게 평가될까요?

이번 편에서는 과목 선택이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교과전형, 수능전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대학별 과목 선택 평가 방식까지 실제 사례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학생부종합전형: 선택과목이 ‘전공적합성’의 핵심

● 학종은 “학교생활기록부 기반 정성평가” 전형
● 평가 항목 중 ‘진로역량’은 아래 세 가지로 구성됨:

  • 전공 관련 교과 이수 노력
  • 전공 관련 교과 성취도
  • 진로탐색 활동과 연계성

 즉, 선택한 과목의 성취도 + 해당 활동과의 연결성이 입시에 직접적 영향

 예: 심리학과 지원 → 심화 사회, 심리학, 진로탐구 과목 이수 + 동아리 활동 연계
 예: 전자공학과 지원 → 물리학, 전자기와 양자, 수학 과목 집중 이수


● 학생부교과전형: 과목별 이수 이력과 깊이 평가

● 원래는 내신 평균(교과성적) 위주였지만,
● 최근엔 교과 간 이수 범위와 이수 심화도도 함께 평가됨

예: “정시 위주 모집이지만, 교과전형에서 특정 계열 과목을 전혀 듣지 않은 경우 감점 요소”

● 특히 **광역계열 모집(학부제/계열제)**에서는
전공 예정 분야와 관련된 과목을 고르게 이수한 학생이 유리


● 수능위주전형: 일반 선택과목 중심 출제, 공통과목도 포함

● 2028 수능은 다음 기준 적용

영역공통과목일반선택 출제 범위
국어 공통국어 화법과 언어, 독서와 작문
수학 공통수학 대수, 미적분Ⅰ
탐구 통합사회, 통합과학 사회·과학 일반선택 과목
 

●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 절대평가 적용

수능 응시 과목도 결국 고교 내 과목 선택과 연결
 성취도 및 선택과목 이수 여부가 수능 응시 자격과 맞물림


● 대학별 과목 선택 권장안 (서울대 예시)

서울대는 2028학년도 입시부터 전공 연계 과목 선택 가이드를 공개했습니다.

전공 계열권장 과목
이공계 확률과 통계, 기하, 미적분Ⅱ, 물리학, 화학, 진로 선택 과학 3과목 이상
인문·사회 제2외국어/한문, 사회계열 진로 선택 과목
학부 모집 전공 구분 없이 다양하고 깊이 있는 과목 이수
   
 

※ 다른 대학도 유사 기준을 비공식적으로 참고하는 경향 있음


● 실제 입시 설계 예시

공학계열 지원자

  • 수학: 대수, 미적분Ⅰ·Ⅱ, 기하
  • 과학: 물리학, 전자기와 양자
  • 진로탐구: 과학탐구실험, 수학과제탐구

언론정보학과 지원자

  • 국어: 문학, 독서와 작문
  • 사회: 사회문화, 미디어와 표현
  • 융합과목: 매체의사소통, 토론과 글쓰기

 핵심은 “전공 관련 과목을 이수하고, 그 과목에 대한 관심과 성취도를 기록으로 남기는 것”


고교학점제는 단순히 과목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대학이 보는 나의 학업 태도와 진로 의지를 설계하는 과정”입니다.

대학은 점점 과목 선택의 맥락과 성취 과정을 평가하려고 합니다.
지금부터는 “잘한 과목”보다 “왜 골랐고 어떻게 성장했는가”가 더 중요한 입시의 핵심이 됩니다.


출처: 서울시교육청 2025학년도 2022 개정 교육과정 선택 과목 안내서
※ 서울대학교 전공 연계 과목 가이드(2028 기준) 일부 포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