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과목 선택 가이드 ③
이공계부터 예체능까지, 계열별 과목 선택 전략 총정리
2025학년도 고1부터는 고교학점제에 따라 학생이 과목을 선택하고 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하지만 어떤 과목을 골라야 대학 진학이나 진로 설계에 유리할까요?
서울시교육청 안내서에 따른 계열별 과목 선택 가이드를 통해
전공 계열별로 무엇을 선택해야 하고, 어떤 과목을 심화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안내드립니다.
● 이공계열(자연과학·공학)
과목군추천 과목
수학 | 대수, 미적분Ⅰ·Ⅱ, 기하, 확률과 통계, 고급수학, 인공지능수학 |
과학 |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전자기와 양자, 생물의 유전, 융합과학탐구 |
정보 | 데이터과학, 소프트웨어와 생활 |
융합 | 과학의 역사와 문화, 기후변화와 환경생태 |
서울대 등 주요 이공계 학과는 수학 심화 + 과학 탐구형 과목 3과목 이상 이수를 권장합니다.
● 인문·사회계열
과목군추천 과목
국어 | 문학, 독서와 작문, 화법과 언어 |
사회 | 사회·문화, 경제, 정치와 법, 윤리와 사상, 국제관계의 이해 |
제2외국어/한문 |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한문 고전 등 |
융합 | 사회문제탐구, 윤리문제탐구, 역사로 탐구하는 현대세계, 여행지리 |
인문사회계열은 사회 탐구과목의 깊이 있는 이수와 외국어 과목 이수 이력이 경쟁력이 됩니다.
● 예술·체육계열
과목군추천 과목
체육 | 운동과 건강, 스포츠문화, 스포츠과학, 스포츠생활 |
예술 | 음악연주와 창작, 미술감상과 비평, 무용실기, 영상제작, 공연실습 |
융합 | 예술과 문화, 음악과 문화, 미디어와 표현 |
실기 중심 진학을 목표로 하는 경우, 전공 분야와 연계된 과목 이수가 매우 중요하며
학생부 종합전형에서 과목 선택의 진정성과 연계 활동의 깊이가 평가 요소입니다.
● 의학·보건계열
과목군추천 과목
수학 | 미적분Ⅰ·Ⅱ, 기하, 통계 |
과학 | 생명과학, 화학, 생물의 유전, 물질과 에너지 |
진로선택 | 보건, 생명윤리, 과학탐구실험, 직무수학 |
교양 | 인간과 철학, 논리와 사고 |
의대, 약대, 간호학과 등 보건계열은 수학과 과학의 체계적 이수가 필수이며
고3까지 과목 간 위계성과 심화학습 흐름을 갖추는 것이 핵심입니다.
● 교육·자율전공계열
과목군추천 과목
국어·사회 | 교육의 이해, 인간과 철학, 인문학과 윤리 |
진로선택 | 논술, 진로와 직업, 창의적 문제해결 |
융합 | 매체의사소통, 독서토론과 글쓰기, 인간과 경제활동 |
교직 진로의 경우 인문소양형 과목과 논리적 사고 중심 과목 이수가 중요하며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계열 연계성과 활동 기록의 일관성이 평가됩니다.
과목 선택은 단순히 좋아하는 과목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진학하고 싶은 전공과 연결된 ‘학업 준비의 설계도’입니다.
특히 2025학년도 고1부터는 과목 선택 이력이 대입 전형에서 중요하게 반영됩니다.
반드시 아래와 같은 자료를 참고하여 설계하세요.
● 추천 활용 자료
- 대학별 전공연계 과목 가이드북
-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진학 나침반
- 커리어넷 진로정보
- 임금직업포털
728x90
반응형
'edu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고교학점제 완전 해부 ② 과목 선택 가이드 (0) | 2025.05.15 |
---|---|
2025 고교학점제 완전 해부 ① (2) | 2025.05.14 |
3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 대학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0) | 2025.05.07 |
3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 무엇이 달라졌을까? (1) | 2025.05.06 |
2028학년도 대입 전략, 이렇게 바뀐다! 통합형 수능부터 과목 선택 전략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