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과목 선택 가이드 ⑤
과목 선택, 이제는 실전이다! 진로 설계 도구와 활용법 총정리
2025년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학생·학부모·교사 모두에게 필요한 건 ‘정보’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서울시교육청이 안내한 「2025학년도 2022 개정 교육과정 선택 과목 안내서」의 활용 팁, 실전 설계 도구, 공동교육과정 활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① 선택 과목 안내서 제대로 활용하는 법
● 본 자료는 학생용 안내서, 학부모 설명회 자료, 교사용 연수 교재로 사용 가능
● 단위 학교 여건에 맞게 PPT로 가공하거나 요약본(6~13쪽 내외)으로 재편집해도 무방
● 과목별 설명에는 교과 목적, 성취 기준, 주요 내용, 관련 학과/직업, 수능 반영 여부까지 수록
👉 진로 설계의 교과 연계성과 함께, 학업 설계 기반으로 활용 가능
② 단위학교에 없는 과목은? ‘공동교육과정’이 있다!
● 모든 과목이 한 학교에서 개설될 수는 없음
● 단위학교에서 개설되지 않은 과목은 아래 방식으로 이수 가능
-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인근 학교와 연계 수업 운영
-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녹화 수업
- 지역 교육청 운영 과정: 주말반, 방학반 등 운영
예: ‘심화 화학’, ‘과학과제연구’, ‘미디어영어’, ‘제2외국어 회화’ 등
③ 선택 과목 설계용 엑셀 프로그램
● 서울시교육청에서 엑셀 기반 선택 과목 설계 프로그램을 배포
● 진로 계열별로 추천 과목 자동 필터
● 과목별 학점 계산 및 졸업 요건 충족 여부 확인 가능
● 부록에 활용법 수록, PPT 및 엑셀 파일 별도 배포 가능
④ 진학정보 탐색에 도움되는 추천 사이트
●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https://jinhak.sen.go.kr)
- 진로심리검사, 계열별 과목 선택 예시, 대입 사례 다수
● 커리어넷 (https://www.career.go.kr)
- 흥미 유형 기반 직업 탐색 → 관련 고교과목 매칭 기능
● 임금직업정보포털 (https://www.wagework.go.kr)
- 미래 유망 직업, 연봉, 관련 전공 등 실사례 분석
● 어디가 대입정보포털 (https://www.adiga.kr)
- 대학별 전형 및 모집요강 확인, 전공별 과목 권장 정보 제공
⑤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설계 팁
● 진로가 확실한 경우
- 대학 전공과 직접 연결되는 과목을 핵심적으로 이수
- 활동(동아리, 탐구보고서)까지 연결되게 설계
● 진로가 불확실한 경우
- 다양한 교과군을 경험하며 과목 성취도와 흥미 비교
- 1학년 때는 ‘기초과목 + 탐색과목’ 위주 구성, 2학년부터 집중 선택
● 학부모가 할 일
- 학교에서 배포하는 안내서 적극 활용
- 과목 간 난이도, 내신 반영 방식(절대/상대), 수능 연계 여부 체크
- 교과 지도교사/진로상담부와의 소통 필수
2025년부터는 학생의 선택이 곧 진로설계의 시작점입니다.
정보는 넘쳐나지만, 그것을 자신에게 맞게 해석하고 조합하는 것이 진짜 전략입니다.
서울시교육청의 안내서는 ‘과목 설명서’가 아니라, 학생의 학업 여정을 설계하는 나침반입니다.
자료 활용법까지 숙지한다면, 자기주도적 학습과 미래 설계 역량은 자연히 따라올 것입니다.
'edu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고교학점제 완전 해부 ④ (0) | 2025.05.17 |
---|---|
2025 고교학점제 완전 해부 ③ 과목 선택 가이드 (2) | 2025.05.16 |
2025 고교학점제 완전 해부 ② 과목 선택 가이드 (0) | 2025.05.15 |
2025 고교학점제 완전 해부 ① (2) | 2025.05.14 |
3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 대학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0) | 2025.05.07 |